주제별해석/배경

뒤로가기
뒤로가기

에스라-느헤미야의 혼합 결혼 파기에 관한 연구


기본 정보
상품명 에스라-느헤미야의 혼합 결혼 파기에 관한 연구
소비자가 12,000원
판매가 10,800원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3,000원 (5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
수량 down up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매하기예약주문



도서명에스라-느헤미야의 혼합 결혼 파기에 관한 연구
저자/출판사김사무엘/토브북스
ISBN9791196312176
크기152x225mm
쪽수288p
제품 구성낱권
출간일2021-04-12
목차 또는 책소개상세정보참조


  기본상품명 에스라-느헤미야의 혼합 결혼 파기에 관한 연구
  출판사 토브북스
  저자/역자 김사무엘
  ISBN 979-11-963121-7-6
  출시일 2021-04-12
  크기/쪽수 152x224mm 288p


 

 

1. 도서 소개(출판사 리뷰)

 

거룩과 신앙을 지키기 위한 윤리와 신학

- 배타주의와 보편주의의 갈등과 화해의 역설

 

본서는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에 나타난 혼합 결혼 파기의 문제에 집중한다. 그것은 결혼 제도가 언약 공동체의 수용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특별히 저자는 히브리어 원문을 기초로 텍스트 분석 연구를 통해 그 갈등의 원인과 결과를 세밀히 밝히고 있다. 이는 에스라-느헤미야를 보다 깊게 이해하기를 원하는 독자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라 할 수 있다.

 

 

추천사

 

본서는 한국 구약 학계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이 되지 않았던 포로기 이후 역사서인 에스라-느헤미야 연구에 단비와 같은 책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구약학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등한시되었던 부분 중 가장 민감하고 날카로운 논쟁점인 혼합 결혼 파기의 문제를 개혁신학자답게 성경 텍스트에 집중하여 심도 있게 풀고 있다. 이는 에스라-느헤미야 연구에 또 하나 획을 긋는 중요한 연구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서는 신학자와 목회자, 신학생과 관심 있는 독자들이 진지하게 읽어야 할 중요 도서로 추천하는 바이다.

 

- 황선우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학 교수)

 

 

 

 

2. 저자 소개

 

김사무엘 목사

 

하나님께 생명을 선물받았음을 간증하는 그는, ‘느림’에 관대하며 ‘아픔’에 공감하기를 소망하는 따뜻하고 정감이 넘치는 목사다. 그는 4호선 종점이라 누구나 한 번은 들어봤을 무당(巫堂)고개 당(堂)고개역 근처, 상계동 서울 평안교회에서 2009년부터 지금까지 담임목사로 사역하고 있다. 총신대학교와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구약신학을 전공으로 신학 석사(Th.m)와 철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3. 목차

 

추천사 6

서문 12

1장 서론 15

1. 연구 목적 16

2. 방법론과 연구절차 22

1) 주석적 방법론 22

2) 연구 절차 25

2장 에스라-느헤미야의 역사적 배경과 혼합 결혼 해석사 27

1. 에스라-느헤미야의 역사적 배경 28

1) 페르시아의 역사 29

2.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귀환연대 35

1) 에스라의 귀환 연대 35

2) 느헤미야의 귀환 연대 47

3. 에스라-느헤미야 시대의 포로 공동체의 상황 49

1) 바벨론의 유대인 공동체 49

2) 예후드 54

3) 골라 공동체 61

4. 에스라-느헤미야의 혼합 결혼 해석사 71

1) 제의적 해석 71

2) 상징적 해석 76

3) 사회-경제적 해석 79

4) 신학적 해석 82

3장 에스라 9, 10장과 느헤미야 13장의 구조와 주석 85

1. 에스라 9장 1-15절의 구조와 주석 86

1) 본문 번역 86

2) 구조 92

3) 세부 구조와 주석 98

4) 소결론 147

2. 에스라 10장 1-44절의 구조와 주석 150

1) 본문 번역 150

2) 구조 158

3) 세부 구조와 주석 164

4) 소결론 206

3. 느헤미야 13장 1-31절의 구조와 주석 209

1) 본문 번역 209

2) 구조 216

3) 세부 구조와 주석 223

4) 소결론 249

4장 결론 256

참고문헌 263

국문초록 281

ABSTRACT 284

 

 

 

 

 

4. 본문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에스라-느헤미야의 혼합 결혼 문제가 단지 인종에 따른 반대 혹은 ‘포로 귀환 공동체’와 ‘그 땅의 백성들’ 간의 땅의 소유를 위한 ‘정권 다툼’과 현실 사회의 ‘사회-경제적 문제’, 포로 후기 이스라엘 공동체 안에서 일어난 ‘배타주의적 사고’ 이상의 신학적 의미가 있음을 밝히도록 하겠다. 에스라-느헤미야에서 극단적으로 보이리만큼 철저하게 혼합 결혼을 반대한 이유는 혼합 결혼이 이들이 처해 있는 현실 사회의 문제를 반영하는 것이었을 뿐 아니라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그들의 조상들로부터 지켜 온 ‘여호와 유일 신앙’의 거룩함을 지키는 문제이자 ‘거룩한 씨’로서의 신앙적 정체성을 지키는 문제였기 때문이다. p.21-22.

그동안 ‘거룩한 씨’를 학자들은 인종적 표현으로 보아 왔다. ‘거룩한 씨’라는 표현이 신명기에 사용된 ‘거룩한 백성’과는 달리 거룩함의 육체적, 혈통적 전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여호와와 그의 백성 사이의 진실한 관계는 민족의 순수성을 통해서만 계속 유지될 수 있었다고 보아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스라서의 저자가 본문에서 골라 공동체를 지칭하며 ‘씨’가 아닌 ‘거룩한’ 씨라는 어구를 사용함에 주목해야 한다. 에스라서의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씨’가 아니라 ‘거룩함’에 있다. p.70.

 

구약 성경에서 ‘거룩한 씨’는 이사야서 6장 13절과 에스라 9장 2절에서 두 번만 사용되며 이것은 에스라서의 저자가 ‘거룩한 씨’라는 어구의 의도적 사용을 통해 골라 공동체가, 곧 이사야서 6장 13절의 남은 자들이며, 하나님의 언약을 계승한 후손들임을 드러내고 있음을 나타낸다. 에스라서의 저자는 신학적, 관계적 어휘인 ‘거룩함’을 통해 육체적, 혈통적 조건이 아닌 거룩함이 골라 자손의 정체성이며, 그것이 하나님의 언약 가운데 있음을 보여 준다. p.147.

 

혼합 결혼 파기를 위해 구성된 위원회의 활동은 혼합 결혼 파기의 전 과정이 인종적 차원이 아닌 신앙적 차원의 반대에 기인함을 보여 준다. 혼합 결혼 파기를 위한 위원회는 10월 1일에 발족되었고(16절) 1월 1일이 되어서야 위원회는 이 모든 일들에 대한 조사를 끝마친다(17절). 이것은 위원회가 조사받는 이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많은 ‘낯선’ 아내들이 이혼의 위협에 직면했을 때 개종하였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 위원회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우상 숭배와 혼합주의적 신앙을 가진 ‘낯선 여인들’에게 이교적 혼합주의에서 벗어나 여호와 신앙을 선택하도록, 신앙적 차원으로 배려하여 개종을 권하였던 것이다. p.208.

 

에스라 9, 10장과 느헤미야 13장의 혼합 결혼에 대한 에스라와 느헤미야 그리고 골라 공동체의 혼합 결혼 파기와 모든 조치들은 ‘거룩한 씨’ 골라 공동체의 포로기 이후 회복된 ‘거룩’을 지키기 위한 자기 정화의 노력이며 ‘낯선 여인’으로 상징되는 이방 종교의 우상 숭배와 혼합주의로부터 여호와 유일 신앙을 지키기 위한 율법적 결정이었으며, ‘거룩한 이스라엘’을 위한 신학적 결정이었다. p.261-262.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에스라-느헤미야의 혼합 결혼 파기에 관한 연구
소비자가 12,000원
판매가 10,800원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3,000원 (5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결제 안내

배송 안내

배송정보

교환/반품 안내

서비스문의 안내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