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가기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


기본 정보
상품명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
소비자가 18,000원
판매가 16,200원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3,000원 (5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
수량 down up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매하기예약주문


도서명예수 그리스도와 신화
저자/출판사루돌프 불트만/이동영/지우
ISBN9791193664025
크기125*188mm
쪽수256p
제품 구성낱권
출간일2024-02-29
목차 또는 책소개상세설명참조



책소개

20세기 신약성서신학과 해석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루돌프 불트만의 대표적인 이론인 ‘비신화화 이론’과 실존주의 해석‘에 대한 개념이 담긴 책으로, 1951년 10월 경 미국으로 건너가 예일대학교와 밴더빌트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영어로 행한 강연을 토대로 한 것이다.

이 책은 이 강연 원고를 불트만의 제자 우르슬 리히터가 독일어로 번역한 뒤 불트만이 직접 감수하여 영어 강연 내용의 몇몇 오류와 오해를 바로 잡은 독일어 판본을 번역한 것이다. 여기에 역자의 비평적 해제를 더해 불트만과 이 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다.


목차

영어판 저자 서문 12
독일어판 저자 서문 14
역자 서문 15

Ⅰ. 예수의 메시지와 신화의 문제 25
Ⅱ. 신화적 종말론의 해석 45
Ⅲ. 그리스도교 메시지와 현대의 세계관 69
Ⅳ. 현대의 성서해석과 실존철학 87
Ⅴ. 행동하는 자로서의 하나님의 의미 115
참고문헌 162
색인 164

비평적 해제 169
출판사 후문 254


책속으로

‘예수의 설교와 신약성서 전체의 설교는 현대인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 수 있는가?’ 오늘날의 사람들에게 신화적인 세계상, 종말, 구원자, 구원과 같은 표상은 이미 지나가버린 것이고, 그 용도가 폐기되어 버린 것들입니다. 우리가 솔직히 신약성서에 있다는 이유 때문에 사람들이 진실이라고 인정할 수 없는 내용들을 받아들이고자 ‘지성을 희생시키는 것’(sacrificium intellectus), 즉 그들이 이해하는 일을 포기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우리는 신약성서 안에서 신화적인 표상들을 포함하고 있는 본문들을 빼고 읽거나, 현 대인들에게 걸림돌이 되지 않는 말씀들만 취사선택해서 읽어야 할까요? (38-39)



우리는 종말론적인 설교와 신화적인 진술 전체가 신화의 껍질 아래에 감추어져서 보다 깊은 의미를 보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물어야만 합니다. 만약 우리가 그러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려면, 신화적인 표상들을 제거해야만 합니다. 우리는 신화의 보다 깊은 의미를 밝혀내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신화적인 표상들의 배후에 있는 보다 깊은 의미를 드러내고자 시도하는 신약성서의 주석방법을 나는 썩 만족스러운 용어는 아니지만 ‘비신화’(Entmythologisierung)화라고 부릅니다. 비신화화의 목적은 신화적인 진술들을 제거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해석(주석)하는 데 있습니다. 그러므로 비신화화는 하나의 해석방법 내지는 주석방법입니다. 우리가 신화의 의미를 일반적으로 설명하려고 할 때, 이 방법의 가치를 가장 잘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40)


그리스도교 사상에서 자유란 진리를 인식하는 것으로만 만족하는 하나의 정신적 자유가 아닙니다. 그것은 진정 자기 자신이 되고자 하는 인간의 자유입니다. 성서가 증언하는 자유는 죄로부터의 자유, 타락으로부터의 자유입니다. 또한 바울이 말한 것처럼 육체로부터의 자유이며, 옛 아담으로부터의(옛 자아로부터의) 자유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거룩하신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구원이란 하나님의 심판으로 말미암아 은총과 정의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59)


우리는 이러한 비신화화를 하나의 특수한 예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대의 묵시문학적인 기대 안에서 메시아의 나라에 대한 기대는 한 편의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메시아의 나라는 ‘옛 세계’(ουτος ο αιων)와 ‘새로운 세계’(ο μελλων αιων) 사이의 ‘중간통치’(Interregnum)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메시아적 중간통치의 이러한 묵시문학적이고 신화적인 표상을 - 그리스도의 통치 마지막에는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통치권을 하나님 아버지에게 넘겨주실 것인데 - 그리스도의 부활과 그의 임박한 파루시아(재림, 고전 15:24) 사이에 있는 현재적 시간으로 해석합니다. 즉, 복음이 설교되는 현재적 시간은 실제로 이전에 기대했던 메시아의 왕국, 즉 메시아의 통치의 때라는 것입니다. 예수는 지금 여기에서 메시아이시며, 주님이십니다. (64-65)



비신화화 작업의 의도는 종종 그리스도교 교의학과 교회의 설교에 잔존하고 있는 지나가버린 시대의 낡은 세계관을 제거해 버리는 데 있습니다. 비신화화 작업이란 낡아버린 옛 세계관에 묶여있는 성서와 교회의 메시지를 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신화화를 시도한다는 것은 이러한 중요한 통찰과 더불어 시작합니다. 그리스도교의 설교가 하나님의 명령과 그의 이름 안에서 주어지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설교인 한, 그러한 설교는 우리가 이성을 통해서 받아들일 수 있거나 또는 지성의 희생(sacrificium intellectus)을 통해서 받아들일 수 있는 하나의 교리를 제공해 주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스도교의 설교는 ‘케리그마’(Kerygma), 곧 선포입니다. 그리스도교의 설교는 이론이성, 즉 오성을 향한 것이 아니라 한 개체적인 자아로서의 청중을 향한 한 편의 선포입니다. (71-72)


우리의 정신적인 삶으로부터 도출되는 주석의 전제나 또는 본문에 일치하는 주석의 전제는 실제로 주어진 본문에 질문으로 던지는 주제, 즉 우리의 정신적 삶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나는 이러한 관계를 ‘삶의 관계’(Lebensbezug)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관계 안에서 우리는 질문이 제기하는 주제에 대해 하나의 확실한 이해를 갖게 되고, 이러한 이해로부터 주석의 개념들이 형성되게 되는 것입니다. 본문을 읽음으로써 우리는 배우게 될 것이고, 스스로의 이해가 확장되고 향상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관계와 전이해 없이는 어떤 본문도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100)


만약 우리가 지금 성서를 주석하고자 한다면, 우리의 관심사는 무엇입니까? 분명히 성서는 하나의 역사적인 문헌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서를 역사 연구의 방법들을 사용해서 주석해야만 합니다. 우리는 성서의 언어를 연구해야만 하고, 성서 저자의 역사적인 상황 등을 연구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러나 우리의 참되고 진정한 관심은 무엇입니까? 우리는 성서를 그저 과거의 역사적 시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역사적인 자료로만 사용하고 읽어야 합니까? 아니면 성서는 자료(Quelle) 그 이상의 의미가 있는 것입니까? 나는 생각합니다. 우리의 실제적인 관심사는 성서가 우리의 현재의 상황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를 듣는 것이며, 실제적으로 우리의 삶과 우리의 영혼에 관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를 듣는 것입니다. (102-103)


지금 교회의 설교 안에서 선포되든지 아니면 성서 안에서 읽히든지 성서가 순수하게 종교사를 위한 흥미로운 자료집으로서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는 한 편의 말씀으로서 교회를 통해 전승된 것으로 간주된다는 의미에서 하나님의 말씀은 인간의 언어 안에서 나에게 말씀하시는 한 편의 참다운 말씀입니다. 이러한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은 인간 의 정신이나 인간의 책략이나 영리함에 의해 고안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은 역사 속에서 발생한 것입니다. 역사 속에서 발생한 사건이 그 말씀의 기원입니다. 말씀을 말하는 행위, 즉 설교는 이러한 역사적인 사건을 통해 권위와 합법성을 계속해서 구현해 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건은 다름 아닌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 하나님의 말씀이시고 말씀사건인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주장을 역설(paradox)이라고 부릅니다. (151)


추천사


불트만의 입장을 지지하든 반대하든 그의 논지를 건너뛴 채 현대 신약학을 논하기는 어렵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는 흔히 비신화화와 양식비평으로 대변되는 불트만이 1951년 북미의 여러 대학에서 강의한 자료를 엮은 책으로 그의 신약학 방법론과 전제를 이해하기에 매우 적합하며, 그 분량과 서술의 간결함으로 인해 가독성이 좋습니다.
본서는 불트만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비신화화’의 개념과 목적을 명료하게 소개합니다. 그는 비신화화를 통해 신약에 기록된 신화적 요소와 진술을 해석함으로써 신비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책에서 설명하는 불트만의 실존주의적 해석과 인간론 중심의 해석은 두 번의 세계 대전, 나치, 비관주의, 교회의 쇠퇴 시대에 살았던 학자로서 예수의 설교와 신약의 설교가 오늘을 사는 현대인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고민한 흔적을 반영합니다. 불트만은 예수나 말씀의 역사성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 있는 인간이 실존적으로 자각하고 결단하는 순간과 변혁에 초점을 맞춥니다. 불트만은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와 사건들(예, 부활)의 역사성이 아니라 신학적 예수에 있는 교회의 실존적 신앙고백에 관심을 둡니다.
필자는 불트만의 비신화화 작업, 복음서 기록의 역사성과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의 역사성에 대한 불가지론적 견해, 종말론과 우주론에 대한 실존주의적 접근에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과연 역사성이 간과된 실존적 각성이 효력이 있는 것인지 의문입니다. 그러나 불트만의 신학에 동의하지 않는 독자들에게도 본서는 가장 영향력이 컸던 학자와 대화하는 테이블의 역할을 할 것입니다. 신약 해석학의 역사를 위한 연구에서 기초 자료인 것은 당연합니다.
본서를 비평적으로 읽는 독자들에게 이동영 교수의 비평적 해제는 대단히 흥미로운 조합입니다. 조직신학과 서양 철학의 전문가인 이동영 교수는 독일어판의 역자로 불트만의 신학과 사상을 개혁신학자의 관점에서 비평적으로 평가합니다. 그의 신학적 고민과 성찰이 담긴 해제는 독자들의 시선을 책의 마지막 페이지까지 중단 없이 사로잡을 것이 확실합니다.
강대훈_ 총신대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종교개혁의 양대 산맥이었던 루터파 교회와 개혁파 교회는 그들의 신앙과 교리를 담은 문서(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서)와 루터, 멜랑흐톤, 칼뱅, 부처 등이 저술한 신학책들에 의해서 그 정체성이 형성되었습니다. 그에 반해 영국 성공회는 조금 다른 길을 걸었습니다. 성공회 역시 자신들의 신앙과 고백을 담은 42개 신조를 발표하긴 했지만, 대륙의 종교개혁 교회들의 신앙고백문처럼 그들 교회의 불변의 신앙고백으로 삼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루터나 칼뱅, 멜랑흐톤처럼 체계적인 저술을 남긴 신학자들도 없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대륙의 종교개혁운동은 500여 년의 시간 동안 시대에 따른 수많은 교리논쟁과 신학적 방향의 변화가 많았지만, 성공회의 신학적 흐름은 대륙과는 달리 주로 성서학에 집중되었습니다. 한국 교회에서 인기 있는 신약학자들 중 거의 대부분이 성공회 주교이거나 사제들인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루돌프 불트만의 성서해석방법론이 19, 20세기 성서학 전통이 강했던 영국 성공회에 끼친 영향은 대륙 못지않은 큰 충격과 변화였습니다. 그러나 불트만의 제자였던 케제만이 역사적 예수문제의 새로운 탐구를 이끌어내었듯이, 영국의 성서학자들 역시 불트만의 영향에서 벗어나고자 다양한 노력을 시도했습니다. 저는 이동영 교수가 30년 전에 번역하신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영역본)을 읽고 불트만의 신학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불트만이 직접 감수한 이 독일어 버전을 새롭게 번역하여 출간한 본서는 난해하고 복잡한 불트만의 지형도를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책입니다. 게다가 이번에 새롭게 개정된 번역서에는 역자이신 이동영 교수의 상세한 해제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이 해제만으로도 불트만의 복잡한 세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세기 성서학뿐만 아니라 교의학에도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불트만에 대한 이해는 현대신학을 다루는 데 있어 반드시 넘어야 할 산입니다. 이번에 새롭게 번역 출간된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를 통해 불트만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지길 고대합니다.
박상용_ 대한 성공회 서울교구 사제


오래전의 일입니다. 저는 우연히 루돌프 불트만의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를 어느 보수적인 학풍의 신학 도서관에서 발견하고 깜짝 놀랐습니다. 첫째는 불트만의 책이 한국의 보수적인 학풍을 지닌 신학교의 도서관에 꽂혀 있다는 사실에 놀랐고, 둘째는 역자 역시 보수적인 학풍에서 공부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하지만 이 놀라움은 또한 반가움이기도 했습니다. 불트만의 주저서가 우리말로 옮겨져 있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었는데, 이제 수업 시간에 학생들과 함께 이 문제작을 읽을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흥분되었습니다. 이 책의 주된 주장이 비록 여러 면에서 비판을 받아 왔지만, 여전히 신학 공부를 위해 반드시 읽고 넘어야 할 산이라는 점에서 이 번역서의 출현은 놀라움이자 반가움이었습니다.
불트만의 신학은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인간의 정신이 성숙해진 시대에 기독교 신앙이 지성의 희생을 강요당하지 않으면서도, 성서의 메시지인 하나님 말씀에 직면하여 실존적 결단과 변화라는 이해의 사건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고자 했습니다. 물론 그가 제시한 비신화화를 통한 실존론적 신학의 방법과 내용이 21세기 신학이 다뤄야 할 주제와 짊어져야 할 과제에 비하면 턱없이 협소해 보일지 모르지만, 여전히 근본적인 방향의 하나를 지시하고 있다고 봅니다.
이번에 이 책을 독일어판에서 다시 번역하셨다니, 놀라움과 반가움이 배가 됩니다. 누구보다 전통적인 신학적 풍토를 중시하는 역자께서 이런 힘겨운 작업을 기꺼이 감내하셨다는 점이 놀라우면서도 감사할 따름입니다. 신학은 성서 적합성과 시대 책임성이라는 두 축 사이에 서 있습니다. 이 책 한 권으로 신학의 부활을 기대하기는 어렵겠지만, 우리 시대에 만연한 신학상실을 극복하도록 자극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박영식_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고난과 하나님의 전능』 저자


불트만 사상의 소개서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가 첫 번역자인 이동영 교수의 독일어 판본 재번역으로 새로이 태어났습니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신약성서학계의 거장이 ‘비신화화’와 ‘실존론적 해석’으로 대표되는 자신의 신학사상을 평이한 어투로 직접 해설한 이 책의 가치와 중요성은 새삼스레 재론할 필요조차 없을 것입니다. 놀라운 것은 1958년에 나온 이 오래된 책이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설득력 있고 아름다우며 심지어 은혜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사실입니다.
과학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성서의 말씀을 이해 가능한 형태로 들려주어야 한다는 불트만의 문제의식은 오늘 우리에게도 여전히 중요하고 적실합니다. 동시대의 다양한 학문적 흐름들을 장인의 솜씨로 통섭해 거대하고 설득력 있는 해석학적 체계로 빚어가는 과정은 감탄과 경이의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지금’, ‘여기서’ 행해지는 선포와 결단을 강조하는 실존론적 해석은 대다수 그리스도인들의 신앙 경험과 부합할 뿐 아니라, 오늘 여기서 이 책을 펼치는 우리의 가슴을 뜨겁게 합니다.
물론 이 책에 나온 불트만의 생각에 모두 동의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이동영 교수가 해제에서 잘 밝히고 있듯 그 역시 다른 신학자들처럼 시대의 아들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저는 우리가 불트만의 대담한 신학적 ‘결론’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그가 보여준 치열한 신학함의 ‘태도’에는 공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중요한 책과 함께 우리도 영원한 하나님의 말씀을 우리 시대에 적실한 메시지로 풀어내는 흥미로운 모험의 여정을 떠나 보는 것이 어떨까요?
정한욱_ 안과전문의, 『믿음을 묻는 딸에게, 아빠가』 저자



지난 세기의 인물 같지만, R. Bultmann은 신약학뿐 아니라 신학 전반에서 여전히 그 영향력이 지대합니다. 신학적 성향을 차치하고서라도, 신학을 연구하는 전문가는 전공을 불문하고 불트만의 신학적 이론의 인용을 수용적이든 비판적이든 피할 수는 없습니다. 본서는 1951년 미국의 예일 대학교 Divinity School을 시작으로 미국의 여러 대학과 신학교에 초청되어 발표한 불트만의 영어 강연을, 그의 제자 Richter가 번역하여 저자의 감수와 함께 본래 언어인 독일어로 출판한 책입니다. 원 저자의 신학적-학문적 깊이를 그대로 담았을 뿐만 아니라 영어본의 여러 오류를 수정한, 불트만의 의도가 좀 더 정확히 담긴 판본입니다.
일반적으로 신학자들은 불트만의 신학적 해석학 이론인 비신화화(Entmytolo-gisierung)를 신학의 연구사에서 부인할 수 없는 독보적인 학문적 공적으로 인식하는데, 본서 곳곳에 이러한 그의 신학의 근저인 신화의 해석학적 사유가 잘 드러나 있습니다.
특별히 역자가 책 말미에 쓴 비평적 해제는 불트만의 신학적-해석학적 배경과 사유의 정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좋은 이해를 갖는 데 도움을 줍니다. 독일어에서 번역된 많은 전문 서적들이 언어적 이해나 신학적 이해가 적절하지 못하여 읽으면서 시간을 낭비할까 염려한 나머지 그냥 독일어로 읽었던 경우를 기억하면, 이동영 교수의 번역은 그 두 가지를 걱정하기 않고 읽을 수 있는 번역서라는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우리 대학교 자신의 연구실에서 밤늦게까지 늘 연구에 몰두하는 이동영 교수의 이 역서가 신약학뿐 아니라 신학 전반에 진지한 많은 독자들에게 적잖은 영향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신약학에도 깊은 전문지식을 가진 조직신학자의 통찰력 있는 번역으로 탄생한 이 역서를 신학적 지평을 여는 좋은 학술서로 추천합니다.
최순봉_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신약학



현대인들에게는 복음서가 어렵습니다. 귀신이 등장하고, 귀신은 예수님께 부탁을 하고, 예수님은 기도로 그 병을 고쳐주십니다. 하물며 손만 대어도 병이 낫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때 어떤 학자들은 복음서 속에서 ‘역사’를 발굴하면 현대인들에게 유의미한 결과를 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실제 팔레스타인 땅을 거닐던 예수님의 진짜 역사가 핵심이라 생각했습니다. 복음서 속에서 예수님이 진짜 남기셨던 흔적과, 후기 교회가 덧붙인 흔적 사이를 구분하려 애썼습니다. 반면 어떤 학자들은 복음서 속에서 ‘역사’를 발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아무리 연구해도 그가 발견한 것은 예수님을 만난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이었습니다. 네, 루돌프 불트만은 후자에 속한 사람입니다. 그는 복음서를 연구하는 신약학자의 입장에서 자신이 연구한 결과를 주장합니다. 복음서를 들여다보니 그곳에는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들의 신앙이 있었다고 말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는 루돌프 불트만이 주장했던 비신화화(Entmythologisierung) 이론을 잘 설명하고 있는 책입니다. 그가 보기에 복음서의 핵심은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들의 신앙입니다. 따라서 그는 현대인들이 복음서를 통해서 (초기 그리스도교인들처럼) 신앙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다수의 현대인들은 복음서 곳곳에 있는 (귀신이 등장하고 기적이 일어나는) 고대의 신화적 세계관 앞에서 걸려 넘어집니다. ‘십자가의 걸림돌(갈 5:11)’ 앞에서 넘어져야 참된 신앙을 가질 수 있을 텐데, 신화적 세계관이라는 어설픈 걸림돌 앞에서 넘어지는 겁니다. 따라서 그는 신화적 세계관의 걸림돌은 걷어내고 참된 십자가의 걸림돌이 드러나게끔, 성경을 현대인들에게 걸맞게 해석할 것을 제안합니다. 신약학자의 정체성 및 설교자의 정체성이 묻어나는 부분입니다. 이것이 바로 비신화화(Entmythologisierung)의 핵심주장입니다.
불트만의 주장은 예리합니다. 그의 통찰은 여전히 반짝입니다. 오늘날에도 유의미합니다. 하지만 그의 논리에는 시대의 한계에 따른 문헌적 오류가 있습니다. 또한 조직신학자의 주장이 아닌 만큼 완결성 있는 신학 체계가 아닌 제안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역자 이동영 교수는 번역에 더해 가이드까지 겸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를 오늘날에 걸맞게 다시 해석하고 있는 것입니다. 서문과 해제를 통해 맥락을 명료하게 해설하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부분과 다소 한계가 있는 부분을 콕콕 집어내는 솜씨가 매섭습니다.
본서는 고전입니다. 고전에는 별다른 추천이 필요 없습니다. 저자를 알고, 제목을 알고 있다면 본서를 소장하지 않을 이유가 없겠습니다.
홍동우_ 『교회답지 않아 다투는 우리』 저자


저자 소개

루돌프 불트만
(Rudolf Bultmann, 1884-1976)

루돌프 불트만은 독일 루터교회 소속의 신약성서학자였다. 불트만은 1884년 8월 20일에 독일 북부 올덴부르크(Oldenburg)에서 독일 루터교회의 목사인 아르투르 불트만(Arthur Bultmann)의 첫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03년 올덴부르크 김나지움(Oldenburger Gymnasium)을 졸업한 후, 튀빙겐(Tübingen)대학교 신학부와 마르부르크(Marburg)대학교 신학부에서 공부했다. 그는 1907년 올덴부르크에서 신학시험에 통과했고, 1910년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신학박사학위(Dr. theol.)를 취득했다. 그의 학위논문은 『바울의 설교양식과 견유학파와 스토아학파의 논증화법』(Der Stil der paulinischen Predigt und die Kinisch-Stoische Diatribe)이다. 이 논문은 1910년 학위논문 통과 후 즉시 출판되었으나 재판되지는 않았다. 그로부터 2년 뒤인 1912년 교수자격취득논문(Habilitation)이 통과되었는데 그 제목은 동방의 교부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르의 주석학』(Die Exegese des Theodor von Mopsuestia)이었다. 불트만은 1912년 마르부르크대학교 사(私)강사로 시작하여, 1916-20년 브레슬라우(Breslau)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1920-21년에 유명한 종교사학파이며 신약성서학자인 빌헬름 부셋(Wilhelm Bousset, 1865-1920)의 후임자로 기센(Gießen)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그리고 1921년 종교사학파였던 자신의 스승 빌헬름 하이트뮐러(Wilhelm Heitmüller, 1869-1926)의 후임자로 모교 마르부르크대학교의 교수가 되었으며, 1951년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서 가르쳤다. 그는 1920년대 이래로 약 40-50년 동안 신약학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1976년 7월 30일 마르부르크에서 세상을 떠났다.


역자 소개

이동영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고, 오스트리아 비인대학교(Univ. Wien) 고전어학부에서 고전어 과정(Latinum. Graecum)을 이수한 후, 동 대학교 신학부에서 저명한 개혁신학자 울리히 쾨르트너 교수(Prof. Dr. Ulrich H. J. Körthner)의 지도하에 신학 기초 과정을 공부하였다. 그 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Vrije Univ. Amsterdam) 신학부에서 아트 판 에크문트 교수(Prof. Dr. Aad. van Egmond)의 지도하에 교리사(부전공)를 그리고 코르넬리스 판 더 코이(Cornelis van der Kooi) 교수의 지도하에 교의신학(전공)을 연구하였으며, 판 더 코이 교수를 지도교수로 신학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독일 보훔대학교(Ruhr-Univ. Bochum) 신학부에 진학하여 트라우고트 예니헨 교수(Prof. Dr. Traugott Jähnichen)를 지도교수로 그리고 미하엘 바인리히 교수(Prof. Dr. Michael Weinrich)를 부지도교수로 삼위일체신학을 전공하여 ‘최우등’(magna cum laude)의 성적으로 신학박사학위(Dr. theol.)를 취득했다. 이 학위논문은 그 학문적 가치를 인정받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히틀러에 대항하여 독일 ‘고백교회’(Bekennende Kirche)를 설립하는 데 중대한 공헌을 했던 고백교회의 지도자 한스 에렌베르크 목사(Pfr. Dr. Hans Ehrenberg)를 기념하는 저명하고 명예로운 신학시리즈인 ‘한스 에렌베르크 기념신학총서’의 제20권으로 선정되어 『삼위일체 하나님과 그분의 공동체』(Der dreieinige Gott und seine Gesellschaft)라는 제목으로 독일에서 출판되었다. 오스트리아 비인 정동교회 담임 교역자로 12년간 사역하였으며, 현재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이며 도서관장이다. 저서로는 『송영의 삼위일체론』(새물결플러스, 2017), 『신학 레시피』(새물결플러스, 2020), 『몸짓의 철학』(지노: 2020)이 있다.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
소비자가 18,000원
판매가 16,200원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3,000원 (5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결제 안내

배송 안내

배송정보

교환/반품 안내

서비스문의 안내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


TOP